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기후변화 대응 기술 총정리 (재생에너지, CCUS, 친환경기술)

하모니박스 2025. 7. 5. 09:52

목차



    반응형

    기후변화 대응 기술 총정리

     

     

     

    기후변화의 속도가 점점 가속화되면서, 단순한 규제나 인식 제고만으로는 온실가스 감축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수단으로 떠올랐으며, 전 세계는 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탄소중립(Net-Zero)을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재생에너지, 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차세대 친환경 기술들을 중심으로 기후위기 해결을 위한 핵심 기술을 정리하고, 현재와 미래의 기술적 가능성까지 총정리합니다.


    재생에너지 : 탈탄소 사회의 핵심 동력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인 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는 석탄·석유 등 탄소 기반 에너지 의존에서 벗어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종류 및 특징

    에너지원 특징 및 장점 보금 현황
    태양광 가장 빠르게 성장 중, 지붕·건물·농지에 설치 가능 한국 재생에너지의 55% 차지
    풍력 육상·해상 풍력 구분, 해상풍력 확장 중 유럽 중심으로 해상풍력 급성장
    수력 안정적인 발전, 대규모 설치 필요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 16% 차지
    바이오에너지 유기 폐기물 활용 가능, 탄소중립 가능성 있음 일부 산업체에서 활용 중
    지열 온도차 이용, 난방과 냉방 모두 활용 가능 국지적 이용 중심
     

    재생에너지 기술 발전 트렌드

    1. 고효율 태양광 패널 개발
      • 실리콘 셀 → 페로브스카이트 하이브리드로 전환
      • 발전 효율 25% 이상 기대
    2.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 수심이 깊은 해역에서도 설치 가능
      • 한국·노르웨이·일본 등 기술 개발 집중
    3. 에너지 저장장치(ESS) 연계
      •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극복을 위한 핵심
      • 리튬이온·전고체·수소 저장 기술 병행 발전
    4. 마이크로그리드 및 P2P 에너지 거래
      • 소규모 에너지 생산자가 전력을 직접 거래
      •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플랫폼 확대

    CCUS : 탄소를 잡아 다시 쓰는 기술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는 탄소를 공정 또는 대기에서 포집하여, 이를 저장하거나 재활용하는 기술입니다.
    재생에너지만으로 단기간에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어려운 산업계에서 전환기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CCUS 기술 구성 요소

    기술 단계  설명 적용 분야
    탄소 포집 (Capture) 공장, 발전소 배출가스에서 CO₂ 분리·추출 시멘트, 철강, 화력발전 등
    탄소 활용 (Utilization) 포집된 CO₂를 연료·건축자재 등으로 전환 화학공정, 인공광합성 등
    탄소 저장 (Storage) 지하 심부에 CO₂를 영구 저장 해저 저장소, 염수층 등
     

    대표 적용 사례

    1. 삼성물산·포스코 : 철강 공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탄산칼슘으로 전환 → 시멘트 원료 활용
    2. 미국 Petra Nova :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CO₂ 포집 후 석유회수 증진(EOR)에 활용, 하루 4,000톤 이상 저장
    3. 노르웨이 Northern Lights 프로젝트 : 유럽 최초의 상업적 CO₂ 저장 인프라, 해저 2,600m 지하에 저장 → 연간 150만 톤 감축

    기술적 과제와 미래 방향

    • 높은 설치·운영 비용 → 경제성 확보 필요
    • 저장 안전성 및 지진 위험 검증 필요
    • 정부 지원 정책·배출권 거래 연계 시 성장 가능성 큼

    기타 친환경 기술들 : 미래의 기후 기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은 재생에너지·CCUS 외에도 에너지, 자원, 도시, 식량,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차세대 친환경 기술 키워드 정리

    분야 주요 기술 및 개념
    건축 패시브하우스, 제로에너지빌딩(ZEB), 그린루프
    수송 전기차, 수소차, e-모빌리티, 전동 화물 배송 드론
    식량 대체육, 곤충단백질, 수직농장, 스마트팜
    자원순환 폐기물 에너지화(WtE), 순환경제 플랫폼, 디지털 분리배출 시스템
    냉난방 히트펌프, 지열냉난방, 도시 에너지회수 시스템
    도시 탄소중립도시, 스마트그리드, 카본프리존
     

    기술별 설명 요약

    1. 스마트팜

    • 온도·습도·광량을 AI가 조절하여 탄소 배출은 줄이고 생산성은 높임
    • 드론, 로봇 수확, 자동 급수 시스템 등과 연동

    2. 제로에너지빌딩(ZEB)

    •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양을 0에 가깝게 만드는 설계
    • 고단열 자재, 태양광, 스마트 센서 기반 운영 시스템

    3. 대체 식량 기술

    • 소고기 대신 배양육, 식물성 고기, 곤충 단백질 사용
    • 축산업으로 인한 메탄 배출 줄이는 효과

    4. 수소 경제

    •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 → ‘그린수소’ 생산
    • 수소차, 수소 연료전지, 산업용 열원으로 활용

    결론 : 기후 기술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기후위기는 단순한 환경 이슈가 아니라 사회 구조 전체를 뒤흔드는 시스템적 위기입니다.
    이에 대응하는 기술은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며, 기술 개발의 속도는 곧 인류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재생에너지는 탈탄소의 기초, CCUS는 과도기적 해결책, 그리고 다양한 친환경 기술은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의 기회가 됩니다.

    이제는 ‘기후 기술 후진국’이 아닌 기후기술 선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개인과 사회, 정부 모두가 기술 개발과 수용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기술로 탄소를 줄이고, 기술로 지구를 살리는 시대, 그 변화의 시작은 지금입니다.

    반응형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